반응형

환경부에서 추진하는 2025년 전기자동차 보급사업은 친환경 자동차 확대를 위해 전기차 구매 시 최대 7,00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.
✅ 지원 대상
- 📌 지원 가능: 개인, 법인, 공공기관, 지방자치단체, 지방공기업
- ❌ 지원 불가: 동일 차종을 2년 내 2대 이상 구매하는 경우
💰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원 금액
구분 | 전기승용차 (소형) |
전기승용차 (중·대형) |
전기화물차 (소형) |
전기화물차 (경형) |
전기승합차 (중형) |
전기승합차 (대형) |
최대 지원액 | 530만 원 | 580만 원 | 1,050만 원 | 770만 원 | 5,000만 원 | 7,000만 원 |

📌 추가 지원금 혜택
- 🚖 전기택시 구매: +250만 원
- 🔋 배터리 보증 10년/50만 km 이상: +30만 원
- 👨👩👧👦 다자녀 가구 (최대 3자녀 이상): +300만 원
- 🏪 소상공인, 차상위 계층: 국비 지원액의 20% 추가
- 🚚 택배·배달업 종사자: 국비 지원액의 10% 추가
- 🏡 농업인: 국비 지원액의 10% 추가
📝 보조금 신청 방법
📆 신청 기간
📅 각 지방자치단체별 공고 확인 필수 (연 2회 이상 모집, 예산 소진 시까지)
🏢 신청 절차 (민간 부문)
- 🚗 구매 계약 체결 (구매자 → 제작·수입사)
- 📄 보조금 지원 신청서 제출 (구매자 또는 제작·수입사 → 지방자치단체)
- ✅ 보조금 대상자 선정 및 통보 (지방자치단체)
- 🛠 차량 출고 및 등록 (출고 후 2개월 이내)
- 💰 보조금 지급 신청 접수 (출고 후 10일 이내)
- 🎯 보조금 지급 (14일 이내) (지방자치단체 → 제작·수입사)
❌ 보조금 지급 불가 및 환수 사유
- 🚨 의무운행기간(최대 4년) 미준수
- 🚨 보조금 부정 수급 (명의 도용, 허위 신청 등)
- 🚨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차 구매 후 배터리 재판매
📞 문의처 및 추가 정보
📍 보조금 신청: 각 지방자치단체
📍 보조금 관련 정보: 무공해차 통합누리집(www.ev.or.kr)
🚀 한눈에 보는 정리
- ✅ 전기차 구매 시 최대 7,000만 원 지원
- ✅ 소상공인, 취약계층, 배달업 종사자는 추가 지원 가능
- ✅ 출고 후 2개월 이내 차량 등록 필수
- ✅ 보조금 지급 후 3~4년간 의무운행 필요
- ✅ 보증수리 및 A/S 대리점 확보된 차량만 지원
📢 2025년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혜택을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! 🚀
(붙임) 2025년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('25.1.15.).pdf
1.31MB
반응형